제목 없음

 

 

 

 

입시칼럼

고등학교 학년별 1학기 학교생활가이드
Name   :   김정식    (작성일 : 23-02-20 / Hit : 765)

고등학교 학년별 1학기 학교생활가이드


고1학년 : 달라진 시험 평가 방법에 유의하며 내신을 챙겨야 한다.


중학교와 고등학교는 시험 평가 방법이 다르다. 절대평가였던 중학교와 달리 고등학교는 상대평가를 한다.

상대평가란 점수 석차에 따라 등급을 부여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100명이 치른 시험에서 95점을 받아 5등이 됐을 경우 중학교에서는 A를 받지만 고등학교에서는 1등급 기준이 상위 4%에 들지 못해 2등급을 받는다.

중학교에서는 원점수가 중요했다면 고등학교에서는 내 점수의 위치(상대점수)가 중요해진 것이다.

내신관리는 고교 생활의 핵심이다. 1학년 때는 전교생이 공통과목을 이수하기에 등급 확보가 비교적 수월하다.

2~3학년이 되면 선택과목을 이수하는데, 일반 선택과목의 경우 수업을 듣는 학생이 적을수록 1등급을 받는 인원도 줄어들어 경쟁이 치열해진다.

따라서 등급 확보가 용이한 1학년 때 좋은 성적을 받아야 대입에서 유리한 위치를 확보할 수 있다.


[고2학년] 희망 전공에 대한 관심, 열정 보여야 한다. 2025 전형계획안 확인은 필수다.


대입제도 공정성 강화 방안에 따라 2024학년도부터 학교생활기록부 반영 항목이 대폭 축소된다. 자율동아리 활동, 개인봉사할동 실적, 수상경력, 독서활동 등의 항목이 평가에 반영되지 않고 자기소개서 제출도 폐지된다. 비교과 영역은 축소되고, 교과 영역 내 활동의 중요성이 커진 셈이다.

이러한 변화는 2025학년도에도 이어진다. 따라서 고2학생들은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에서 희망 전공에 대한 열정을 드러내야 한다.

학교 수업에 성실히 참여하는 것과 동시에 자신의 생각이나 결과를 선생님과 공유하고 조언을 받는 것이 핵심이다.

수행평가나 조별 과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해 학업의지, 열정을 보여야 한다.

선택과목도 중요하다. 2학년이 되면 자신의 희망 적성과 진로에 따라 과목을 선택해 수업을 듣는다. 학생부종합전형에서는 전공관련 교과목을 이수했는지를 중요하게 평가한다.

어떤 선택과목을 이수했는지를 보면 전공에 대한 지원자의 관심. 열정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새 학기가 시작 전 자신의 희망 전공 및 진로를 생각해 보고 그에 맞는 과목을 결정해야 한다.

대학은 4월 말까지 대학입학전형시행계획을 발표하는데 관심 대학의 전형계획안을 확인해 어떤 전형을 실시하는지, 전년도와 비교해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전형별로 전형요소가 어떻게 이뤄져 있는지 등도 대략적으로 파악해두면 좋다.


[고3학년] 수시 모집인원, 정시보다 3배 많아...내신 관리 및 수능 준비에 집중해야 한다.


각 대학은 대체로 재학생의 3학년 1학기까지, 졸업생의 경우 3학년 2학기까지 성적을 대입에 활용한다.

전국 4년제 대학을 기준으로 2024학년도에는 수시에서 272,032명 정시에서 72,264명을 모집한다. 또한 서울대는 정시에서 교과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며, 올해부터는 고려대도 정시에서 내신 성적을 반영하는 전형을 신설했다.

수시를 최우선으로 삼는 학생뿐만 아니라 논술전형과 정시를 목표로 하는 학생들 또한 마지막까지 내신 관리에 최선을 다해야 하는 이유이다.

수능 대비도 게을리해서는 안된다. 3월 학력평가를 시작으로 6차례 치러지는 모의고사는 학습 성취도 파악뿐만 아니라 입시 전략을 수립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특히 6월과 9월 평가원 주관 모의평가는 재수생도 함께 치르기 때문에 객관적으로 나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고3 학생들은 모의고사 성적 추이를 바탕으로 학습 전략을 점검하고, 수능 최저 충족 가능성을 가늠하고, 정시지원 가능 대학선을 파악하는 등 차근차근 정시를 대비해야 한다.


학생부종합전형 평가요소 및 평가항목 개선안


건국대, 경희대, 연세대, 중앙대, 한국외대는 학생부종합전형 공통 평가요소 및 항목 개선 연구 자료를 발표했다.

학생부종합전형에서 공통 평가요소로 활용했던 학업역량, 전공적합성, 인성, 발전가능성을 학업역량, 진로역량, 공동체역량 3가지로 개정했다.

학업역량 : 학업성취도, 학업태도, 탐구력

진로역량 : 전공(계열)관련 교과 이수 노력, 전공(계열)관련 교과 성취도,

진로 탐색활동과 경험

공동체역량 : 협업과 소통능력, 나눔과 배려, 성실성과 규칙준수, 리더십  


   


 

 

 

제목 없음

회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주)에듀탑 / 연락처 : 02)1660-0767 / 팩스번호 : 070-4887-2439

주소 : 서울시 마포구 113 순흥빌딩 8층 802호  /  사업자등록번호 : 808-88-00173

copyright(c) 2015 edutop. All rights reserved.